팀앤팀 연차보고서 2020


사업보고



사업보고

식수위생 사업

전엔 물을 얻기위해 야생동물이 오가는 먼 길을 가야했는데 이젠 우리 마을에도 수인성질병 걱정없는 깨끗한 물이 생겼어요!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어느 때보다 깨끗한 물과 위생환경이 중요한 해였습니다. 전염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등의 위생 활동이 가장 기본이기 때문에 깨끗한 물로 손을 씻을 수 없는 사람들에게 안전한 식수원과 위생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팀앤팀은 동아프리카 케냐와 우간다의 시골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들이 깨끗한 물을 마시고 코로나 예방을 위한 손씻기 활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식수위생 환경을 지원하였습니다.                                               

7,791                                               

깨끗한 물을 이용 할 수 있게 된 주민 수


케냐 타나리버 지역

타나 리버 지역 지하수 개발사업

개발 완료된 관정 및 핸드 펌프 수20
깨끗한 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된 주민 수5,943

해마다 극심한 가뭄과 홍수 피해가 타나 리버 지역에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팀앤팀은 안전한 식수가 부족한 마을을 중심으로 식수지원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지하수 개발을 통해 신규 식수원을 확보하고 식수펌프를 설치하여 주민들이 마을에서 쉽게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마을 수자원위원회를 구성하여 식수원 유지보수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네팔 루쿰  지역

짜우르자하리 식수지원 사업
관정 개발을 통한 식수원 확보1
깨끗한 물을 이용할 주민 수175

연세의료원 국제개발센터의 지원을 통해 짜우르자하리의 주민들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지하수 개발 사업이 진행되었습니다. 관정 개발을 통해 36m 깊이에서 수층을 발견하고 하루 평균 432톤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식수원을 확보하였습니다. 수질검사 결과 주민들이 안전하게 마시기 적합한 물로 확인하였고, 일차적으로 파이프라인 연결하여 짜우르자하리에 있는 병원 용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네팔에도 코로나19 감염 확산이 빠르게 확산함에 따라 마을 주민들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라인 연결이 장기간 지연되었고, 코로나19 확산세가 감소하고 자재 구매 및 이동이 원활해지면 신속하게 지역 내 식수 공급을 위해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급수시설 설치를 완료하여 주민들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케냐 투르카나 지역

투르카나 학교 환경개선 사업
태양광 식수공급 시스템 구축2
신규 건축된 화장실 칸16
신규 건축된 수돗가 취수탭 수24
교내 안전하게 관리되는 식수 서비스 이용률100%
환경개선 사업의 혜택을 받게된 주민 수1,673

투르카나 지역에 위치한 학교의 물과 위생 관련 취약성 회복을 위해 팀앤팀은 2020년까지 3차연도 식수위생 사업을 진행해 왔습니다. 초등학교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깨끗한 물을 마시고 건강한 위생 활동을 영위하며 미래를 꿈꾸며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식수위생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학생과 교사 대상으로 보건위생 교육 및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2020년 팀앤팀은 투르카나의 나코요 초등학교와 st. 브리지즈 로사자잇 초등학교에서 식수위생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신규 식수원 개발을 통한 식수공급 시스템을 통해 2개 초등학교 651명의 학생과 교사들에게 필요한 깨끗한 물을 공급하였고, 학교 주변의 4개 마을에도 파이프라인을 연결하여 마을 주민에게도 깨끗한 물을 공급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학교 내 남아와 여아를 위한 신규 화장실을 구축하여 WHO 기준을 높은 비율로 학생들이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습니다. 코로나19 상황으로 보건위생 교육 활동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식수위생 시설 구축 시 주민과의 대면을 최소화하여 사업을 착수하였으며, 케냐 정부의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주민들의 위생 인식 활동을 수행하였습니다.


인도적 지원 사업

정착화되어가는 난민캠프 생활 속 우리 가정을 위한 위생시설이 생겼어요!

깨끗하고 안전한 식수와 위생환경은 재난, 자연재해 지역과 난민촌 등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환경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고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먼저 지원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홍수 피해와 장기화한 난민촌의 환경에서 이재민과 난민들은 깨끗하고 안전한 식수위생 환경을 누릴 권리를 쉽게 잃을 수 있습니다. 팀앤팀은 홍수 피해 이재민을 위한 긴급 식수 위생시설 지원을 진행하였고, UNHCR과의 협의를 통해 카쿠마 난민촌 가정의 위생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케냐 지역 정부들과 협의를 통해 식수위생 지원을 통한 코로나19 긴급대응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13,181                                               

수혜를 받은 이재민과 난민, 커뮤니티 수


케냐 투르카나 지역

카쿠마 난민캠프 가정 위생환경 개선 사업
신축된 가정용 UDDT 화장실 수20
신축된 VIP 화장실 수112
손 씻기 시설 설치 수132
난민가정 방문 위생교육 진행 수150
깨끗한 위생환경 이용 난민 수1,241

1992년부터 시작된 카쿠마 난민캠프는 장기간 운영되는 중 계속된 난민 유입으로 인해 위생시설이 부족해지고, 기존의 화장실이 노후화되면서 난민 가정의 화장실 보급률은 계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팀앤팀은 UNHCR과 협의를 통해 난민 가정 주민들이 안전하게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난민 가정 대상 위생시설 지원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난민 가정 중 장애인이 있거나 위생시설이 없어 이용할 수 없는 가정을 우선순위로 선발하여 총 132 개의 난민 가정에 화장실을 지원하였습니다.

2020년 3월부터 케냐에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발생하여 위생시설 건축이 지연되었지만, 해당 기간 코로나19 대응을 진행하였고, 이후 신속하게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하여 위생시설 건축을 완료하여 난민가정이 안전하게 화장실을 이용하고 코로나19 대응 및 위생 활동을 위한 손 씻기 활동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카쿠마 난민캠프 내 코로나19 긴급대응 활동
COVID-19 격리시설 내 화장실 건축 칸 수36
COVID-19 격리시설 내 손 씻기 시설 수48
WASH 시설 지원받은 격리시설 수5

코로나19 감염자가 케냐 전 지역으로 확산함에 따라 카쿠마 난민캠프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격리시설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팀앤팀이 속한 WASH 클러스터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위생시설에 대한 수요조사를 하였고, 팀앤팀은 5개 격리시설에 화장실 36칸, 손 씻기 시설 48개를 설치하였습니다. 또한, 해당 시설 주변 난민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감염 예방을 위한 손 씻기 증진 포스터와 비누 등의 위생용품을 배분하여 감염예방에 기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2020년 한 해 동안 6,150명의 검사자가 위생적인 환경에서 격리시설을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투르카나 커뮤니티 코로나19 긴급대응 활동
긴급대응 마을
긴급대응 지원을 받은 이재민 수3,919 (675가구)
가구별 방역물품 패키지손 씻기 버킷 1개, 비누 1.5kg ~ 2.5kg, 마스크 6장

케냐의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투르카나 서부 지역 보건부처와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활동을 논의하고, 공공행정 및 재난관리부로부터 마을 대상 코로나19 긴급 지원을 요청받아 2개의 긴급대응 마을을 선정하였습니다. 팀앤팀은 투르카나 지역 내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칼로베예이 센터와 은기콰카이스 2개 마을의 675가정을 대상으로 긴급대응 방역물품 배분과 함께 코로나19 예방 포스터를 배포하는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케냐 나이로비, 킬리피 지역

나이로비, 킬리피 지역 코로나19 긴급대응 활동
나이로비 다고레티 서브 카운티
긴급대응 빈민촌 수4
물탱크 설치 수8
위생물품 배분 가정 수996
킬리피 마가리니 서브 카운티
긴급대응 장소보건소 1, 중등학교 1
태양광 식수공급 시설 구축 수2
위생물품 배분 취약가정 수1,004

팀앤팀은 어린이재단과 컨소시엄을 통해 케냐 내 코로나19 감염률이 높고 정부 및 외부의 지원이 어려운 취약지역을 선정하여 코로나19 긴급대응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나이로비 다고레티 서브 카운티에 있는 4개의 빈민촌에 8개의 물탱크 구축 및 식수차 운영을 하였고, 996개 가정에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보호 물품을 지원 하였습니다. 또한, 킬리피 마가리니 서브 카운티에 위치한 다감라 보건소와 갈라나 중학교에 태양광 식수 공급시설 2기를 구축하였고, 1,004개 가정에 개인위생 물품을 지원하였습니다.

코로나19 대응 긴급 식수위생 지원을 통해 취약한 지역의 사람들이 스스로 코로나19예방을 위해 깨끗한 물을 이용하고 위생 활동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여건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케냐 타나 리버 지역

타나 리버 지역 홍수 피해 긴급구호
홍수 피해 긴급 지원 IDP(국내실향민) 캠프 수7
홍수 피해 긴급 지원 마을 수6
IDP캠프 및 피해 마을 식수저장용 물탱크 설치28
홍수 피해 대응 긴급식수차 운영 횟수60
IDP캠프 및 피해 마을 간이 화장실 설치50
위생키트 및 모기장 배분받은 가정 수1,105
긴급식량 지원 가정 수1,105
홍수 피해 지원을 받은 이재민 수6,021

2020년 3월 케냐는 대우기를 보내며 전 지역에서 홍수 피해를 겪고 2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습니다. 팀앤팀이 사업 중인 타나 리버 지역은 특히 많은 홍수 피해가 발생하여 많은 이재민이 발생하였고 농작물 및 가축 피해를 보았습니다. 팀앤팀은 타나리버 지역 내 개설된 IDP 캠프 중 7개 캠프와 6개의 홍수 피해 마을을 대상으로 긴급대응 활동을 착수하였습니다.

홍수 피해로 인해 갑자기 꾸려진 IDP 캠프에는 깨끗한 식수와 위생 시설이 열악한 상황이어서 수인성 질병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기에, 팀앤팀은 캠프와 마을에 물탱크를 설치하고 긴급 식수차를 운영하여 깨끗한 물을 지원하였고, 캠프 내 간이 화장실 지원을 완료하였습니다. 식수위생 시설 지원과 위생용품 및 식량 배분 등을 지원하여 이재민이 캠프에 머무는 동안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환경에서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습니다.


국제질병퇴치기금 사업

마을 주민 모두가 함께 완성해가는 안전하고 깨끗한 위생환경 덕분에 매일 더 건강해져요.

우간다 북서부에 위치한 아루아, 마디-오콜로 주 주민들의 수인성 질병 유병률 감소를 목표로 진행 중인 국제질병퇴치기금 2차 연도 사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우간다 전역의 이동 제한으로 인해 식수위생 지원을 위한 자재 수급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제한이 해제됨과 동시에 주민들에게 깨끗한 식수와 건강한 위생환경 지원을 위해 신속하게 사업을 수행하였습니다. 코로나19 상황 속 깨끗한 식수지원과 위생시설의 지원은 질병으로부터 주민들이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26,649                                               

깨끗한 물을 이용 할 수 있게 된 주민 수


우간다 아루아, 마디오콜로 지역

식수위생 환경 개선을 통한 수인성질환 관리 사업

태양광 식수공급 시스템 구축 수
7
신규 핸드펌프 수
11
수리된 핸드펌프 수
100
수집된 아루아, 마디-오콜로 수원지 정보 수
629
식수 정화 염소 소독기 설치 수
54
식수지원 관리장비 지원 수
111
식수위생 지원을 받은 주민 수
26,649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의 확산은 우간다 내에서도 지속해서 확산하여 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주민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식수원이 부족하고 5세 미만 아동의 설사 발병 여부 등을 고려하여 대상 지역을 선정하여 식수지원과 주민 주도형 위생 개선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국제질병퇴치기금을 통해 아루아와 마디-오콜로 주의 7개 마을에 태양광 식수공급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11개 마을에 핸드펌프를 구축하여 주민들이 깨끗한 물을 마시고, 손 씻기 등의 위생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핸드펌프의 고장으로 깨끗한 물을 이용할 수 없던 100개 마을을 방문하여 펌프 수리 사업을 통한 안전한 식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지역 펌프 관리자와 마을 수자원위원회 대표 등 핵심인력을 대상으로 식수원 유지관리 교육을 진행하여 주민들 스스로 지속 가능한 식수원 유지관리할 수 있는 역량 강화와 책임의식 증진을 독려하였습니다. 또한 지역 수원지 및 관련 정보 온라인 맵핑을 수행하고 있으며, 향후 지역 정부에 시스템을 이양하여 지역 자체적으로 지속적인 수자원 관리 및 점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